MY MENU

발간도서

본 기사 번역 제공은 <한양대학교 HK 러시아 유라시아 연구사업단>이 러시아 및 유라시아 지역의 주요 헤드라인 뉴스들을 정리, 번역하여 매주 국가별로 원문과 함께 제공하는 ‘주간뉴스 번역서비스’이다. 2010년 7월 20일 제 1호가 나온 이후 지금에 이르며, 본 기사번역 제공서비스가 포괄하는 국가에는 러시아연방을 비롯하여,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 등 12개 국가이다. 이들 12개국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최신뉴스를 엄선하여 번역하고 원문링크와 함께 배포하는 본 서비스는 이제 관련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학생들에게도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지난 1990년 「월간북방동향」으로 창간하여 1997년 「아태지역동향」으로 제호를 변경한 이래 2006년 2월호까지 발간되었다. 본지는 월간 발행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게재되는 내용은 본 아태지역연구센터에서 매월 개최하고 있는 중국, 러시아, 북한, 미국, 일본 5개국의 정치/경제/사회 동향 및 초점분석에 대한 월례보고회의 결과물들이다.

『JAPA(Journal of Asia-Pacific Affairs』는 본 연구센터의 확대개편에 따라 연구영역의 확장을 꾀하고자 발간된 영문 학술잡지로서 지난 1999년 8월 창간호가 발행되었다. 본 학술잡지는 연 2회 발행되어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 국가들에 대한 연구성과를 게재하였는데, 2006년 7월호(v.7, n.7) 이후 발간이 중단되었다.

「亞太쟁점과 연구」 (Contemporary Asia-Pacific Studies)는 월간 「아태지역동향」을 확대, 발전시켜 2006년 4월에 그 창간호가 나온 계간지이다. 본 연구지는 아태지역연구센터의 내 · 외부 연구진들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안 쟁점들을 논의하는 워크숍에서 발표된 연구논문 working paper를 묶어 계간으로 발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2007년 겨울 (제 2권, 4호, 통권 8호)를 마지막으로 발간이 중단되었다.

제목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라시아 : 대외정책, 경제통합 그리고 극동개발

작성일
2017.07.12
저자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사업단
출판사
민속원
쪽수
312쪽
발행일
2016년 6월 25일
목차
머리말
찾아보기
지은이 소개


제1부 유라시아 국가의 대외정책

제1장 우크라이나 위기와 미국-러시아 관계_ 강봉구
-대외정체성 대립의 장기화-
1. 서론
2. 주권민주주의와 러시아의 비서방적 대외정체성
3. 우크라이나 위기에 대한 미러간 인식 차이
4. 대외정체성 대립 전선의 장기화 요인
5. 요약적 결론

제2장 우크라이나 사태 전개와 러시아-유럽 관계_ 우평균
1. 서론
2. 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3. 푸틴의 의도와 서구의 대응 문제
4. 우크라이나-EU 및 러시아-EU 관계
5. 전망

제3장 카자흐스탄 대외정책_ 이지은
-유라시아주의(Eurasianism)적 지향성-
1. 들어가며
2. 카자흐스탄 대외정책의 지향성:유라시아주의
3. “카자흐스탄 2014~2020 대외정책전략”에 나타난 유라시아주의
4. 유라시아주의에 입각한 양자, 다자관계
5. 우크라이나 사태와 카자흐스탄 대외정책
6. 나가며


제2부 유라시아경제연합의 출범과 경제 이슈

제4장 지역주의와 지역화의 맥락에서 본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결성의 의미_ 김영진
1. 서론
2. 신지역주의와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의 지역주의
3. 유라시아주의와 유라시아의 지역화
4. 유라시아 통합 과정에서의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5. 결론

제5장 유라시아경제연합의 화폐통합 가능성 평가와 과제_ 변현섭
-유럽 화폐통합 사례의 함의-
1. 서론
2. 화폐통합의 이론적 기초 및 선행연구
3. 유럽 화폐통합의 추진과정과 시사점
4. 유라시아경제연합 화폐통합의 제약요인
5. 결론:유라시아경제연합 화폐통합의 과제

제6장 유라시아경제연합 구축과 러시아 에너지전략_ 김상원
1. 서론
2. 유라시아 통합 추진
3. 러시아 에너지 전략
4. 러시아의 유라시아 전략과 중국
5. 결론


제3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신동방 정책과 극동개발

제7장 러시아-중국 간 에너지 협력의 정치․경제적 의미_ 윤익중․이성규
-우크라이나 사태 전후를 중심으로-
1. 서론
2. 러시아-중국 간 에너지 협력의 대․내외 요인
3. 러시아-중국 간 가스 협력 추진과정과 내용
4. 푸틴-시진핑 체제에서 양국 간 가스 협력의 의미와 한계
5. 결론

제8장 러시아 극동지역개발 전략으로서 선도개발구역 설립의 의미와 전망_ 변현섭
1. 서론
2. 선도개발구역의 논의 경과
3. 선도개발구역 설립 법안의 주요 내용
4. 선도개발구역의 평가 및 전망
5. 결론:정책적 시사점

제9장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제도
도입의 전략적 의미와 협력 방안_ 변현섭
1. 서론
2. 자유항 제도의 이론적 고찰
2. :자유항의 개념과 기능, 경제적 효과 및 설립 요건
3.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설립의 배경과 의미
4.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법의 주요 내용
5. 결론: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내용
유라시아 지역 국가들의 대외정책을 글로벌화 및 지역주의가 초래하고 있는 거대 지역통합 흐름과의 관련 속에서 고찰하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연이은 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에 대한 대처 과정에서 중국의 존재감 증대로 G2체제가 운위되는 등, 글로벌 세력 구성과 배치에서 커다란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특히 EU의 동방으로의 확산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러시아가 탈소공간에서 야심차게 주도하고 있는 EEU(유라시아경제연합:Eurasian Economic Union)와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EU와 EEU 간 탈소공간의 둘러싼 통합 경쟁 등 국외적 핵심 영향 변수들이 변화되고 있는 환경에서 새로운 발 전모델을 선택하고 있는 유라시아 국가들의 기존 대외정책노선의 성격과 핵심 내용들을 재검토하고, 영향 변수들의 변화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대외정책의 전개 방향을 검토하고 전망하는 것이 이 책의 연구 목표이다.
저자약력
강봉구
러시아학술원 IMEMO(세계경제/국제관계연구원) 정치학 박사
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교수
주요 논저:『현대러시아 대외정책의 이해』(1999), 「우크라이나 위기와 미국-러시아 관계: 대외정체성 대립의 장기화」(2015), 「유라시아경제연합(EEU)과 EU: 정체성 대립의 새로운 전선」(2014), 「러시아의 크림병합:신냉전인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종언인가?」(2014), 「‘강대국’으로의 복귀?:푸틴 시대의 대외정책(2000~2014)」(2014), 「대립인가 협력인가?: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 간의 로군댐 분쟁」(2013), 「중앙아시아 페르가나 지역의 국경분쟁」(2013) 등.

우평균
고려대학교 정치학박사
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주요 논저:「글로벌 거버넌스 관점에서 본 고르바초프의 정상회담」(2015), 「The Russian Hybrid War in Ukraine Crisis:Som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2015), 「2011년 정상회담 이후 러․북 관계:러시아의 대북 인식 분석」(2015), 『통일외교 콘텐츠 개발』(2015), 『2015 동아시아 전략 평가』(2015), 『유라시아 지역 민족주의 정치』(2015)


이지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동방학대학 정치학 박사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학과 교수
주요 논저:「중앙아시아 시민사회 발전 가능성 연구」(2010), 「투르크메니스탄 권위주의체제 연구」(2011), 「중앙아시아 권위주의 정권의 미래:변화 vs 현상유지」(2011), 「탈 냉전기 인도의 “중앙아시아 연결정책”」(2012), 「한국과 일본의 대 중앙아시아 자원외교정책 비교연구」(2013), 「인도의 대 중앙아시아 에너지정책과 국제관계:복합안보로서의 에너지 문제를 중심으로」(2013), 「투르크메니스탄 권위주의 정권과 민족주의」(2014), 「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주의와 대외정책」(2014), 「터키의 다자주의를 통한 중견국 전략」(2015), 「카자흐스탄 녹색성장정책 연구:‘카자흐스탄 2050전략’과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중심으로」(2015) 외 다수.

김영진
고려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교수
주요 논저:「체제전환국에 있어 민주개혁 및 경제개혁이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에 관한 분석」(2015), 「키르기스스탄의 노동이주와 그 사회경제적 영향:관세동맹 및 단일경제공간 가입을 중심으로」(2015), 「유라시아의 지역통합:유라시아연합 구상의 조건과 과제」(2014), 「러시아의 현대화, 지역정책, 그리고 극동지역 개발」(2014), 「러시아 자본주의의 형성과 발전:석유․가스에 대한 의존과 국가-기업 관계를 중심으로」(2014), 「타지키스탄의 노동이주와 송금: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2013) 등

변현섭
러시아 국립경영대학교 경제학박사
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
주요 논저:「한-유라시아 주요국 산업협력을 위한 전략적 제휴방안 연구」(2015), 「러시아 내 이주노동자 문제와 정책적 과제:CIS 국가 간의 노동이주를 중심으로」(2015), 「러시아 조직문화의 특성과 인사노무관리 방안:홉스테드의 문화이론 적용」(2015) 등.

김상원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 경제학부 경제학 박사
현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부교수
주요 논저:「유라시아경제연합과 중앙아시아-경제통합 실현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2014.12) 『푸틴시대의 러시아』(공저, 신아사, 2014.8) 「푸틴시기 러시아 경제 성장 요인: 소비시장 확대를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2014.2) 「러시아 사유화와 기업시스템의 변화」, 『중소연구』(2013.8) 『소련제국의 민족과 경제관계』(공저, 민속원, 2013.5) 「러시아 노동시장 변화와 고용정책」, 『동유럽발칸연구』(2013.1)

윤익중
영국 글래스고우대학교 정치학박사
현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정교수
주요 논저:「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푸틴의 신동방정책:권역별 에너지 협력을 중심으로」(2014) 「러시아-중국 간 신 밀월관계의 발전과 한계:푸틴과 시진핑 체제를 중심으로」(2015) 「키르기스스탄의 외교정책과 대중국 관계발전:새로운 도전과 기회」(2015) 등

이성균
러시아 모스크바대학교경제학 박사
현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주요 논저:「러시아-EU 에너지 갈등 연구:공급국과 수요국의 입장에서」(2009) 「러시아-우크라이나 가스수송 분쟁과 수송 안정성에 관한 연구:쌍방독점이론을 중심으로」(2010) 「러시아의 새로운 가스공급 여건과 푸틴 집권 3기의 에너지 수출전략:동북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2012)」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푸틴의 신동방 정책:권역별 에너지 협력을 중심으로」(2014) 등
표지 이미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