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발간도서

본 기사 번역 제공은 <한양대학교 HK 러시아 유라시아 연구사업단>이 러시아 및 유라시아 지역의 주요 헤드라인 뉴스들을 정리, 번역하여 매주 국가별로 원문과 함께 제공하는 ‘주간뉴스 번역서비스’이다. 2010년 7월 20일 제 1호가 나온 이후 지금에 이르며, 본 기사번역 제공서비스가 포괄하는 국가에는 러시아연방을 비롯하여,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 등 12개 국가이다. 이들 12개국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최신뉴스를 엄선하여 번역하고 원문링크와 함께 배포하는 본 서비스는 이제 관련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학생들에게도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지난 1990년 「월간북방동향」으로 창간하여 1997년 「아태지역동향」으로 제호를 변경한 이래 2006년 2월호까지 발간되었다. 본지는 월간 발행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게재되는 내용은 본 아태지역연구센터에서 매월 개최하고 있는 중국, 러시아, 북한, 미국, 일본 5개국의 정치/경제/사회 동향 및 초점분석에 대한 월례보고회의 결과물들이다.

『JAPA(Journal of Asia-Pacific Affairs』는 본 연구센터의 확대개편에 따라 연구영역의 확장을 꾀하고자 발간된 영문 학술잡지로서 지난 1999년 8월 창간호가 발행되었다. 본 학술잡지는 연 2회 발행되어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 국가들에 대한 연구성과를 게재하였는데, 2006년 7월호(v.7, n.7) 이후 발간이 중단되었다.

「亞太쟁점과 연구」 (Contemporary Asia-Pacific Studies)는 월간 「아태지역동향」을 확대, 발전시켜 2006년 4월에 그 창간호가 나온 계간지이다. 본 연구지는 아태지역연구센터의 내 · 외부 연구진들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안 쟁점들을 논의하는 워크숍에서 발표된 연구논문 working paper를 묶어 계간으로 발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2007년 겨울 (제 2권, 4호, 통권 8호)를 마지막으로 발간이 중단되었다.

제목

시베리아 근대성과 소수민족 담론 : 시베리아 이야기2

작성일
2017.07.12
저자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사업단
출판사
민속원
쪽수
268쪽
발행일
2017-06-15
목차

총설


제1부 시베리아의 근대성과 역사문화 인식

1장 제정러시아의 철도 역사에 관한 소고_ 정세진
:시베리아 횡단철도 및 중앙아시아 철도를 중심으로
1. 서론
2. 제정러시아 시기 러시아철도의 일반적 건설 과정과 그 특성
3.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건설과정과 그 특성
4. 19세기 제정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복과 중앙아시아 철도
5. 결론

2장 ‘시베리아 샤머니즘’ 재고_ 구형찬
:샤먼에서 보통 사람들로의 초점 전환
1. 들어가는 말
2. ‘진기한 사람들’:샤먼과 샤머니즘의 대상화
3. 지역성, 미개성, 민족성:식민지 시대의 샤머니즘
4. 본성, 맥락, 전통:‘샤머니즘’의 일반화와 유행
5. 탈원형적 재귀:샤먼에서 보통 사람들로
6. 나가는 말

3장 러시아 문학 속의 시베리아 흐로노토프_ 오원교
1. 들어가며
2. 러시아 문학 속의 시베리아
3. 나오며

4장 근현대 한국 지식인들의 바이칼 인식_ 이평래
:한민족의 기원문제와 관련하여
1. 서론
2. 바이칼을 다녀 온 사람들
3. 현대의 방문자들
4. 바이칼은 한국인과 한국문화의 시원지인가?
5. 결론-북방으로 뭉뚱그려진 바이칼


제2부 시베리아 소수민족 문화와 인문지리 담론

5장 시베리아 소수민족 원형스토리 연구_ 김성일
:부랴트 민족의 토테미즘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부랴트 민족의 원형스토리와 토테미즘
3. 나가는 말

6장 시베리아 북부 원주민족 장례 비교_ 김민수
:한티-만시와 축치를 중심으로
1. 서론
2. 영혼, 죽음, 저승에 대한 관념
3. 장례 단계별 비교
4. 결론

7장 러시아 극지 토착 소수민족의 소멸 위기에 대한 고찰_ 김혜진
1. 들어가는 말
2. 개념정의 및 선행연구 분석
3. 토착 소수민족의 인구사회학적 문제
4. 토착 소수민족의 당면 문제
5. 맺는 말

8장 러시아 연방주의와 극동지역 발전프로그램_ 원석범
:극동지역 개발과 소수민족
1. 서론
2. 러시아 연방주의와 중앙-지방 경제관계
3. 러시아 연방주의와 극동지역 중앙-지방 관계 형성 과정
4. 극동지역 발전프로그램의 실행 과정과 소수민족
5. 소수민족 문화 발전 방향과 모델
6. 결론


찾아보기
내용
시베리아 근대성과 역사문화 인식, 시베리아 소수민족과 인문지리 담론 등을 규명하다.
전환기의 유라시아의 시대적 인식과 더불어 제국의 다양한 역사적 정체성과 그 형성을 촉발하고 있는 여러 사회 문화적 요인들을 유라시아 시대의 공존과 상생의 개념이라는 역사적, 지정학적 틀 속에서 검토하는 ‘통시적 접근’이 전개되었다.
저자약력
구형찬(Koo Hyung Chan)
인지종교학, 한국종교문화 연구자.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같은 대학에서 “민속신앙의 인지적 기반에 관한 연구”로 종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017). 한신대와 경남과기대에서 강의하였고, (사)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해왔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아시아고전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 등 3권의 공동 저서를 집필했고, 『(국역)역적여환등추안』 등 2권의 공동 역서를 냈으며, 국내 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김민수(Kim Min Soo)
러시아어, 러시아내 여러 민족의 전통의례 연구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노어학 전공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언어와 민족문화』, 『사고와 언어』 등 다수의 역서가 있고, 시베리아 원주민의 언어상황, 시베리아 소수민족의 전통의례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김성일(Kim Sung IL)
러시아문학 및 문화콘텐츠 연구자.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20세기 초 러시아 유토피아 문학”을 주제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98). 청주대학교 러시아어문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는 동 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러시아 문화와 예술』(공저), 『스토리텔링, 영상을 만나다』(공저) 등 10여권이 있으며, 역서로 『러시아 문화에 관한 담론』(공역), 『톨스토이 중단편선』 등 10여권이 있다. 논문으로는 「문화원형으로서의 도시 페테르부르크 연구」, 「L. 톨스토이 문학에 나타난 전쟁」 등 40여 편이 있다.

김혜진(Kim Hye Jin)
러시아 및 유라시아 민족 연구자.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에서 학사과정을 마쳤으며, 모스크바국립대학에서 고려인 관련 논문으로 역사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2008). 한국외국어대, 인하대, 선문대에서 강의하였고, 현재 한국외국어대 러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민족의 모자이크, 유라시아』, 『러시아의 민족』 I:북서부 & 불가-우랄 편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Особенности этнического самосознания и культурная адаптация русскоязычных корейцев, проживающих в Республике Корея”(СОЦИС, 2015), 「체제 전환과 러시아 소수민족의 의식주 변화:코미 순록사육자를 중심으로」(『슬라브학보』, 2015), 「러시아의 소수민족 정책과 한계」(『국제지역연구』, 2012) 등 러시아 여러 민족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오원교(Oh Won Kyo)
러시아 문학과 유라시아 문화 연구가.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마치고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어문학부에서 “A. P. 체홉의 객관성의 문학”이라는 주제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 충북대 등에서 강의했고,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HK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 인문학술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체홉을 비롯한 러시아문학과 러시아문화(담론) 그리고 이슬람을 포함한 중앙아시아문화 등에 관심을 갖고 강의·연구 중이다. 「체홉의 「목 위의 안나」에 대한 두 해석」, 「도스토예프스키와 아시아」, 「중앙아시아의 자디드운동(Jadidism)에 대한 재고」, 「포스트-소비에뜨 시대의 유라시아주의와 동양」 등의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공저로는 『한국 근대문학의 러시아 문학 수용』, 『러시아제국의 팽창과 근대적 유라시아 문화공간의 형성』 등이 있다.

원석범(Won Seok Bum)
시베리아 민족사 연구자. 한림대 러시아학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역사학부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008). 현재 한림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저작으로는 『러시의 중앙․지방관계와 시베리아 지방화 탐색』(엠-애드, 2013, 공저), 『러시아 극동 신흥시장과 한국의 기회』(엠-애드, 2016, 공저), 「19세기 부랴트, 야쿠트족의 토지소유 관계 연구」, 「부랴트 민족 문화 발전 전망과 과제」 등이 있다.

이평래(Lee Pyung Rae)
몽골과학원 역사연구소에서 역사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몽골어과 외래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몽골 연구자로 몽골 역사 외에도 최근에는 신화와 종교 등 몽골의 정신문화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실크로드의 삶과 종교』,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교과서 바로잡기』, 『아시아의 죽음 문화-인도에서 몽골까지』 등을 공동저술하고, 『몽골 민간 신화』, 『몽골의 종교』, 『중앙유라시아의 역사』, 『몽골 신화학의 형상』, 『몽골의 역사』 등을 우리말로 번역했으며, 몽골사와 몽골문화에 관한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정세진(Jung Se Jin)
러시아 및 유라시아 역사, 종교문화사 연구자.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다.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19세기 전반기 북카프카스의 카프카스 전쟁과 이슬람 요소 연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005). 한국외국어대, 연세대, 한동대에서 강의하였고, 현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 『중앙아시아 민족정체성과 이슬람』, 『러시아 이슬람:역사, 전쟁, 이념』 등이 있고, 공저로는 『유라시아 지역의 국가 민족 정체성』 등 14권의 공동 저서를 집필하였고 『알타이 역사:고대, 중세』를 단독 번역했다. 박사 학위 이후 국내에서 연구 활동을 하면서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카프카스 역사에 관련된 국내외 50여 편의 논문이 있다.
<br>
표지 이미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