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본 기사 번역 제공은 <한양대학교 HK 러시아 유라시아 연구사업단>이 러시아 및 유라시아 지역의 주요 헤드라인 뉴스들을 정리, 번역하여 매주 국가별로 원문과 함께 제공하는 ‘주간뉴스 번역서비스’이다. 2010년 7월 20일 제 1호가 나온 이후 지금에 이르며, 본 기사번역 제공서비스가 포괄하는 국가에는 러시아연방을 비롯하여,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 등 12개 국가이다. 이들 12개국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최신뉴스를 엄선하여 번역하고 원문링크와 함께 배포하는 본 서비스는 이제 관련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학생들에게도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지난 1990년 「월간북방동향」으로 창간하여 1997년 「아태지역동향」으로 제호를 변경한 이래 2006년 2월호까지 발간되었다. 본지는 월간 발행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게재되는 내용은 본 아태지역연구센터에서 매월 개최하고 있는 중국, 러시아, 북한, 미국, 일본 5개국의 정치/경제/사회 동향 및 초점분석에 대한 월례보고회의 결과물들이다.
『JAPA(Journal of Asia-Pacific Affairs』는 본 연구센터의 확대개편에 따라 연구영역의 확장을 꾀하고자 발간된 영문 학술잡지로서 지난 1999년 8월 창간호가 발행되었다. 본 학술잡지는 연 2회 발행되어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 국가들에 대한 연구성과를 게재하였는데, 2006년 7월호(v.7, n.7) 이후 발간이 중단되었다.
「亞太쟁점과 연구」 (Contemporary Asia-Pacific Studies)는 월간 「아태지역동향」을 확대, 발전시켜 2006년 4월에 그 창간호가 나온 계간지이다. 본 연구지는 아태지역연구센터의 내 · 외부 연구진들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안 쟁점들을 논의하는 워크숍에서 발표된 연구논문 working paper를 묶어 계간으로 발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2007년 겨울 (제 2권, 4호, 통권 8호)를 마지막으로 발간이 중단되었다.

러시아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Russian Federation
개요
지리적 위치
지리학상의 좌표
면적
육지: 16,377,742km2
강, 호수: 720,500km2
세계 1위
면적-한국과의 비교
국경
접경 국가: 아제르바이잔 338km, 벨로루시 1,312km, 중국(남동부) 4,133km, 중국(남부) 46km, 에스토니아 324km, 핀란드 1,309km, 그루지야 894km, 카자흐스탄 7,644km, 북한 18km, 라트비아 332km, 리투아니아(칼리닌그라드 주) 261km, 몽골 3,452km, 노르웨이 191km, 폴란드(칼리닌그라드 주) 209km, 우크라이나 1,944km
해안선
해상청구권(maritime claims)
접속수역(contiguous zone): 24해리
배타적 경제수역: 200해리
대륙붕: 수심 200m 이내 혹은 개발 수심
기후
지형
고도차이
최고도: 엘브루스 산 5,633m
천연자원
참고: 기후, 지형, 거리 등 중대한 장애가 천연자원의 개발을 방해함.
토지이용도
영구곡물재배지: 0.1%
기타: 92.79% (2011년)
관개면적
가용 수자원
민물 취수(가정/산업/농업용)
연간 1인당: 454.9m3(2001년)
자연재해
환경문제
환경-국제협약
서명했으나 비준하지 않은 협약: 대기오염-황94협약
지리-참고
인구수
연령구조
15-24세: 10.7% (남자 7,828,947명/여자: 7,482,143명)
25-54세: 45.8% (남자: 31,928,886명/여자: 33,319,671명)
55-64세: 13.8% (남자: 8,408,637명/여자: 11,287,153명
65세 이상: 13.1% (남자: 5,783,983명/여자: 13,105,896명)
중간연령
남자: 36세
여자: 41.9세 (2014년 추정치)
인구증가율
출생률
사망률
순 이민율
도시화 수준
도시화 비율: 연간 0.13% 증가 (2010-2015년 추정치)
남녀 성비
0-14세: 남자/여자 = 1.06
15-24세: 남자/여자 = 1.05
25-54세: 남자/여자 = 0.96
55-64세: 남자/여자 = 0.86
65세 이상: 남자/여자 = 0.44
전체 인구: 남자/여자 = 0.86 (2014년 추정치)
영아 사망률
남자: 1,000명 출생시 7.93명 사망
여자: 1,000명 출생시 6.18명 사망 (2014년 추정치)
출생시 기대수명
남자: 64.37세
여자: 76.3세 (2014년 추정치)
출산율
HIV/AIDS - 성인 발병율
HIV/AIDS - 보균자수
HIV/AIDS - 사망자수
전염성 질병
음식 및 수인성 질병: 세균성 설사
백터 질병(vectorborne disease): 진드기 매개 바이러스 뇌염
참고: 병원성이 높은 H5N1 조류 인플루엔자가 동 국가에서 발견되었다. 이 질병은 조류와 가까이 접촉한 미국 시민들 사이에서 극히 드물게 발병하며 무시할 만한 수준의 위험. (2013년)
국적(nationality)
형용사: Russian
민족구성
참고: 190개 이상의 인종이 2010년 러시아 인구조사에 포함되어 있음. (2010년 추정치)
종교
참고: 추정치는 예배에 참석하는 신자의 수치. 러시아는 70년 이상의 소비에트 지배의 유산으로 예배에 참석하지 않는 신자와 비신자의 숫자가 많음
언어
참고: 100% 초과하는 이유는 조사 대상자가 한 가지 이상의 언어로 대답했기 때문. (2010년 추정치)
문자해독률(문맹퇴치율)
전체 인구: 99.7%
남자: 99.7%
여자: 99.6% (2010년 추정치)
교육기간(초등-대학)
남자: 14년
여자: 15년 (2009년)
교육비 지출
국명
일반 약칭: 러시아
현지 정식명칭: Rossiyskaya Federatsiya
현지 약칭: Rossiya
이전 명칭: 러시아제국(Russian Empire), 러시아소비에트연방사회주의공화국(Russian Soviet Federative Socialist Republic)
정부형태
수도
지리적 좌표: 북위 55.45도, 동경 37.35도
시차: UTC+3 (서울 기준 -5시간)
섬머타임: +1시간, 3월 마지막 일요일에 시작. 10월 마지막 일요일에 종료
참고: 러시아는 11개의 시간대로 나누어짐.
행정구역
주: 아무르 주(블라고베셴스크), 아르한겔스크 주, 아스트라한 주, 벨고로드 주, 브랸스크 주, 첼랴빈스크 주, 이르쿠츠크 주, 이바노보 주, 칼리닌그라드 주, 칼루가 주, 케메로보 주, 키로프 주, 코스트로마 주, 쿠르간 주, 쿠르스크 주, 레닌그라드 주, 리페츠크 주, 마가단 주, 모스크바 주, 무르만스크 주, 니즈니노브고로드 주, 노브고로드 주, 노보시비르스크 주, 옴스크 주, 오렌부르크 주, 오렐 주, 펜자 주, 프스코프 주, 로스토프 주, 랴잔 주, 사할린 주(유즈노-사할린스크), 사마라 주, 사라토프 주, 스몰렌스크 주, 스베르들롭스크 주(예카테린부르크), 탐보프 주, 톰스크 주, 툴라 주, 트베르 주, 튜멘 주, 울랴놉스크 주, 블라디미르 주, 볼고그라드 주, 볼로그다 주, 보로네쥬 주, 야로슬라블 주
공화국: 아디게야 공화국(마이코프), 알타이 공화국(고르노-알타이스크),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우파), 부랴티야 공화국(울란-우데), 체첸 공화국(그로즈니), 츄바쉬야 공화국(체복사리), 다게스탄 공화국(마하취칼라), 잉구슈 공화국(마가스), 카바르디노-바이카리야 공화국(날치크), 칼미키야 공화국(엘리스타),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체르케시크), 카렐리야 공화국 (페트로자보드스크), 하카시야 공화국(아바칸), 코미 공화국(식티프카르), 마리-엘 공화국(요쉬카르-올라), 모르도비야 공화국(사란스크), 북오세티야 공화국(블라디카프카스), 사하[야쿠티야] 공화국(야쿠츠크), 타타르스탄 공화국(카잔), 티바 공화국(키질), 우드무르티야 공화국(이젭스크), 크림 공화국
자치관구: 추코트카 자치관구(아나디르), 한티-만시 자치관구(한티-만시스크), 네네츠(나랸-마르), 야말로-네네츠 자치관구(살레하르트)
변경주: 알타이 변경주(바르나울), 캄차트카 변경주(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트스키), 하바롭스크 변경주, 크라스노다르 변경주,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페름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블라디보스톡), 스타브로폴 변경주, 자바이칼스크 변경주(치타)
연방시: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세바스토폴
자치주: 예브레이[유대인] 자치주(비로디쟌)
참고1: 각 행정구역은 그 행정중심도시와 같은 명칭을 가짐. (예외적인 경우 괄호 안에 행정중심도시의 명칭을 표기)
참고2: 미국은 크림 자치 공화국과 세바스토폴 연방시의 러시아 합병에 대해 인정하지 않음.
독립일
국경일
헌법
법률체계
투표권
행정부
정부 수반(head of government):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Dmitriy Anatolyevich MEDVEDEV) (2012년 5월 8일부터).
제1 부총리: 이고르 슈발로프(Igor Ivanovich Shuvalov) ,
부총리: 아카디 드보르비치 (Arkadiy Vladimirovich DVORKOVICH) (2012년 5월 21일부터), 올가 걸러제츠 (Olga Yuryevna GOLODETS) (2012년 5월 21일부터) 알렉산드르 클로포닌 (Aleksandr Gennadiyevich KHLOPONIN) (2010년 1월 19일부터), 드미트리 코작 (Dmitriy Nikolayevich KOZAK) (2008년 10월 14일부터), 드미트리 로고진 (Dmitriy Olegovich ROGOZIN) (2011년 12월 23일부터), 세르게이 프리호드코 (Sergey Eduardovich PRIKHODKO) (2013년 5월 22일부터), 유리 트루트네프 (Yuriy Petrovich TRUTNEV) (2013년 8월 31일부터).
내각: 정부 부처 혹은 "정부"는 총리와 부총리 및 장관, 그리고 지정된 일부 인물로 구성. 모든 구성원은 대통령이 임명.
참고: 대통령을 보좌하여 정책지원기능을 제공하고 대통령령을 입안하며 정부기관 간 정책을 조정하는 대통령부(Presidential Administration: PA)가 존재함. 안보협의회 또한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함.
선거: 대통령 선거는 6년마다 국민투표를 실시(연임 가능). 가장 최근의 선거는 2012년 3월 4일 (다음 선거는 2018년 3월).
참고: 부통령 없음. 대통령이 직무 중 사망하거나 건강상 이유로 권한을 행사하지 못할 경우, 그리고 탄핵을 당하거나 사임했을 경우, 대통령 선거가 새로 실시될 때까지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지만, 3개월 이내로 제한됨. 총리는 두마의 승인을 얻어 대통령이 임명함.
선거결과: 블라디미르 푸틴이 대통령으로 당선 됨- 블라디미르 푸틴 63.7%, 겐나디 쥬가노프 17.2%, 미하일 프로크노로프 8%,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6.2%, 세르게이 미로노프 3.9%, 기타 1.1%,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두마에 의해 총리로 임명- 299표 중 144표 획득.
입법부
연방회의(상원): 166개 의석으로 구성. 모든 의원은 83개 연방행정단위(주, 변경주, 공화국, 자치관구, 자치주, 그리고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루어지는 연방도시)의 최고행정관료 및 의회관료에 의해 임명됨. 임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대신 대표되는 지방 기관 (regional bodies)에 의해 결정 됨.
국가두마(하원): 450개 의석으로 구성. 2007년 경우, 모든 의원은 최소 7% 이상 득표한 정당의 명부에서 비례대표제의 방식으로 선출되었음. 두마 의원은 보통선거로 선출되며 4년 임기.
선거: 국가두마 - 가장 최근의 선거는 2011년 12월 4일에 실시 (다음 선거는 2016년 12월)
선거 결과:
국가두마 - 통합러시아당 49.6%, 공산당(CPRF) 19.2%, 자유민주당(LDPR) 11.7%, Just Russia 13.2%, 기타 6.3%.
정당별 총의석 - 통합러시아당 238석, 공산당(CPRF) 92석, 자유민주당(LDPR) 56석, Just Russia 64석
사법부
참고: 2014년 1월 법률제정에서 헌법재판소와 최고중재 재판소의 병합 결정을 미결정 함.
임명 및 임기: 모든 러시아의 3개의 최고법원의 재판관들은 대통령의 추천으로 연방 의회에서 종신직으로 임명 됨.
상급 법원: 고등 중재 재판소, 지역(kray) 및 지방(oblast) 법원, 모스크바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법원, 자치주 및 지역(district) 법원
참고: 14개의 러시아 공화국은 그들만의 헌법에 의해 특정된 헌법 체계를 갖음.
정당 및 지도자
Just Russia(Справедливая Россия: Родина/Пенсионеры/Жизнь) - 세르게이 미로노프
러시아연방공산당(CPRF) - 겐나디 쥬가노프
러시아자유민주당(LDPR) -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통합러시아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정치적 압력단체 및 지도자
바이칼환경운동(Baikal Environmental Wave)
러시아독립노조연맹(Federation of Independent Labor Unions of Russia)
선택의자유-지역간자동차사용자기구(Freedom of Choice Interregional Organization of Automobilists)
글라스노스트국방재단(Glasnost Defense Foundation)
골로스투표자권리보호협회(Golos Association in Defense of Voters' Rights)
그린피스 러시아(Greenpeace Russia)
인권감시기구(Human Rights Watch, 러시아 지부)
집단행동연구소(Institute for Collective Action)
메모리알(Memorial, 인권기구)
불법이민반대운동(Movement Against Illegal Migration)
팜자트(Pamjat, 역사적 기념물과 역사기록 보존)
러시아정교회(Russian Orthodox Church)
러시아-체첸우호협회(Russian-Chechen Friendship Society)
소바분석-정보센터(SOVA Analytical-Information Center)
군인어머니위원회연합(Union of the Committees of Soldiers' Mothers)
세계야생동물기금(World Wildlife Fund, 러시아 지부)
참여 국제기구
주한 외교대표
대사관 사무국: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4-16
전화: (02) 318-2116~8
FAX: (02) 754-0417
대표 E-mail : rusemb@uriel.net
주 현지 한국외교대표
주소: St. Plyushchikha 56 bldg 1, Moscow
사서함: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P/B 18, Moscow 119121
대표전화 : (7-495)783-2727
야간휴일 비상전화 : (7-495)778-0780
기업지원담당관 : (7-495)783-2755
FAX : (7-495)783-2777, (7-495)783-2797
대표 E-Mail : embru@mofa.go.kr
Facebook 주소 : www.facebook.com/KoreanEmbassyInRussia
<주블라디보스톡 총영사관>
주소 : Pologaya St. 19, 690091, Vladivostok, Russia
Tel : (7-4232) 40-2222, 2775, 2779
Fax : (7-4232) 40-1451
<주상트페테르부르그 총영사관>
주소 :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St. Nekrasova 32-a, Saint-Petersburg, Russia
Tel : (7-812) 448-1909(민원실 448-1500)
Fax : (7-812) 448-9668(민원실 448-1501)
<주이르쿠츠크 총영사관>
주소 : 664055, 3rd. Floor, 44, Gegarin Boulevard, Irkustk Russia
Tel : (7-3952-250-301)
Fax : (7-3952-250-303)
<주유즈노사할린스크 출장소>
주소 : 283 Bm Lenin St., Yuzhno-Sakhalinsk, Russia
Tel : (7-4242-462-430)
Fax : (7-4242-462-432)
국기 설명
경제 개관
석유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던 1998년에서 2008년 동안 평균적으로 7%의 경제 성장률을 나타냈으며, 세계 경제 위기 때인 2008년에서 2009년에는 석유 가격의 급락과 러시아 은행과 기업의 대외 채권 고갈에 따라 경제에 큰 타격을 입었다. 지난 몇 년간 천천히 하락하는 석유 가격과 해외직접투자 유치의 어려움으로 GDP 성장률은 눈에 띄게 둔화되었다.
2013년 후반, 러시아 경제 개발 부처에서는 2030년까지의 러시아 경제전망을 이전에 발표한 년간 4.0~4.2%의 성장률에서 평균 2.5%으로 감축하여 발표했다. 2014년에는 우크라이나에서의 러시아 군대 개입에 따라, 경제성장률은 0에 가까울 정도로 더욱더 낮게 전망되고 있다.
GDP(구매력평가)
GDP(공식환율)
GDP(실질성장률)
1인당 GDP(구매력평가)
GDP-산업부문별 구성
공업: 47.5%
서비스업: 58.3% (2013년 추정치)
노동력
노동력-산업별 구성
공업: 27.8%
서비스업: 62.5% (2012년)
실업률
빈곤층(빈곤선 이하)
가계소득(소비)의 비중(%)
최고 10% 계층: 42.4% (2011년 추정치)
가계소득격차-지니계수
총고정자본투자
정부예산
세출: 4천5백3억 달러 (2013년 추정치)
공적부채
인플레이션율(CPI)
중앙은행 할인율
상업은행 대출이자율
통화량(스톡)
준통화량(스톡)
국내신용량(스톡)
거래주식의 시장가치
농업-주요 생산물
공업
공업생산증가율
전기-연간생산량
전기-연간소비량
전기-연간수출량
전기-연간수입량
석유-1일생산량
석유-1일소비량
석유-수출량
석유-수입량
석유-확인매장량
천연가스-생산량
천연가스-소비량
천연가스-수출량
천연가스-수입량
천연가스-확인매장량
경상수지
수출-총액
수출-주요 품목
수출-주요 상대국
수입-총액
수입-주요 품목
수입-주요 상대국
외환보유고(금 포함)
대외부채
해외직접투자-국내유치
해외직접투자-해외진출
환율
전화 - 사용중인 주 회선수
전화 - 이동전화
전화 시스템
국내 전화: 국내의 디지털 주요 회선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하바롭스크로, 그리고 모스크바에서 노보시비르스크로 연결되어 있음. 60개 지역 중심도시의 전화시스템은 현대적인 디지털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 휴대전화 서비스는 많은 지역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 모두 사용 가능. 농촌지역의 전화서비스는 여전히 구식이며 불량하고 보급률이 낮음.
국제 전화: 국가번호 - 7
러시아는 해저 광케이블로 국제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여러 도시에서 디지털 교환기는 국제통화를 위해 50,000회선 이상을 제공. 위성지구국(satellite earth stations)은 Intelsat, Intersputnik, Eutelsat, Inmarsat, and Orbita systems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2011년)
라디오 방송국
텔레비전 방송국
인터넷 국가코드
참고 - 러시아는 소연방에 배당되어 이제는 점점 사라지고 있는 ".su" 도메인에 대한 관리책임을 갖고 있음.
인터넷 호스트수
인터넷 사용자수
비행장
포장 활주로를 가진 비행장
3,047m 이상: 54개
2,438~3,047m: 197개
1,524~2,437m: 123개
914~1,523m: 95개
914m 미만: 125개 (2013년)
비포장 활주로를 가진 비행장
3,047m 이상: 4개
2,438~3,047m: 13개
1,524~2,437m: 69개
914~1,523m: 81개
914m 미만: 457개 (2013년)
헬리콥터 승강장
파이프라인
철도
광궤(1.520m 궤간): 86,200km (40,300km 전기화)
협궤(1.067m 궤간): 957km (사할린 섬에 부설)
참고: 30,000km의 추가적인 비공용 운송선로가 산업용으로 이용됨 (2006년)
도로
포장: 927,721km (39,143km의 고속도로 포함)
비포장: 355,666km (2012년)
수로
참고: 유럽-러시아(European Russia)에 속하는 72,000km는 발트해, 백해, 카스피 해, 아조프해 및 흑해로 연결 (2009년) 세계 2위
상용 선박
형태별: 벌크운반선 25척, 카고 663척 , 운반선(carrier) 2척, 화학탱커 27척, 광석/석유 콤비네이션 34척, 컨테이너 11척, 여객선 14척, 여객/화물선 7척, 석유탱커 217척, 냉동화물선 59척, roll on/roll off 10척, 특수탱커 5척
외국인 소유: 112척 (벨기에 4척, 키프로스 2척, 독일 1척, 그리스 1척, 이탈리아 4척, 대한민국 1척, 리트비아 2척, 노르웨이 2척, 스위스 3척, 터키 80척, 우크라이나 11척, 미국 1척)
다른 국가에 등록된 것: 486척 (앤티가바부다 4척, 바하마 4척, 벨리즈 31척, 불가리아 1척, 캄보디아 83척, 코모로스 12척, 키프로스 50척, 도미니카 3척, 그루지야 12척, 홍콩 2척, 자메이카 3척, 라이베리아 94척, 말레이시아 2척, 몰타 58척, 마샬군도 9척, 몰도바 3척, 몽골 9척, 파나마 18척, 세인트키츠네비스 19척,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21척, 시에라리온 11척, 슬로바키아 1척, 투발루 2척, 우크라이나 1척, 바누아투 2척, 미확인 31척 (2008년)
항구 및 승선장
군 구성
병역 연령 및 복무기간
1년 의무복무(신병은 6개월 훈련 후에 작전 지역에 보내짐). 50세까지 예비군. 16세 이상 사관 학교에 입대, 사관 학교 생도는 군대의 일원으로 분류됨.
참고: 동원 부서의 참모총장은 2013년 5월 건강상의 이유로 2013년 봄 드래프트 캠페인 동안에 징집된 65%만이 군 복무에 적합하다고 발표함. 이들 중 12% 이상이 추가 건강 진단에 보내짐 (2012년 69.9%, 2011년 57.7%가 군 복무에 적합하다고 간주됨). 거의 러시아 징집 대상 남성의 50%가 각 주기마다 합법적으로 일시적 징집 유예를 받음.
군 가용인력
16-49세 여자: 35,410,779명 (2013년 추정치)
군 적합인력
16-49세 여자: 23,017,006명 (2013년 추정치)
연간 징병연령 도달 인력
여자: 664,847명 (2013년 추정치)
군사비 지출
GDP 대비 4.13% (2011년)
GDP 대비 4.47% (2010년)
국제 분쟁
난민 및 이재민
무국적자: 178,000 (2012년)
참고: 러시아의 무국적자는 로마, 메스케티 투르크인, 전 공화국의 구소련 시민들로 구성됨. 2003년과 2010년 사이 600,000명이 넘는 무국적자들이 국적을 취득함. 대부분 메스케티 투르크인, 조지아 출신의 이슬람 신도, 1989년 민족학살(Pogrom) 후에 우즈베키스탄에서 추방되거나 도망친 사람들 그리고 필수적인 5년의 거주기간 이상 러시아에 거주한 사람들임. 그들은 일시적인 불법 이민자라는 이유로 크라스노다르 지방에 의해 시민권 등록을 거부당하고 기본권리를 향유하지 못함.
인신 매매
등급평가: 감시 3등급. 러시아는 인신매매 근절의 최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 근절을 위한 뚜렷한 노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됨. 따라서 3등급으로 하락. 러시아의 인신매매 문제에 비추어 봤을 때 소추는 적음. 비록 몇몇 희생자들은 일시적 치료를 받지만 정부는 인신매매 희생자들의 신원이나 지원책을 강구하지 않음. 정부는 노동 착취에 취약한 많은 수의 이주 노동자에 대한 신원 확인이나 보호에 관해 최소한의 대책만을 발표함. 또한 노동 착취에 대한 혐의를 조사하지 않음. (2013년)
불법 마약
체제이행지표(Transition Indicators - EBRD)
대규모 사유화 | 소규모 사유화 | 기업 구조조정 | 가격 자유화 | 무역 및 외환 시스템 | 경쟁 정책 | 은행개혁과 이자율 자유화 | 증권시장과 비은행 금융기관 | 구조개혁 전반 | 통신 | 철도 | 전력 | 도로 | 상하 수도 | |
---|---|---|---|---|---|---|---|---|---|---|---|---|---|---|
1989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NA | 1.00 | 1.00 | 1.00 |
199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NA | 1.00 | 1.00 | 1.67 |
1991 | 1.00 | 1.00 | 1.00 | 1.00 | 1.00 | 2.00 | 1.00 | 1.00 | 1.00 | 1.00 | NA | 1.00 | 1.00 | 1.67 |
1992 | 2.00 | 2.00 | 1.00 | 3.67 | 3.00 | 2.00 | 1.00 | 1.00 | 1.33 | 1.00 | NA | 2.00 | 1.00 | 1.67 |
1993 | 3.00 | 3.00 | 1.00 | 3.67 | 3.00 | 2.00 | 1.00 | 1.67 | 1.33 | 1.00 | NA | 2.00 | 1.00 | 1.67 |
1994 | 3.00 | 3.00 | 1.67 | 3.67 | 3.00 | 2.00 | 2.00 | 1.67 | 1.67 | 2.33 | NA | 2.00 | 1.00 | 1.67 |
1995 | 3.00 | 4.00 | 2.00 | 3.67 | 3.00 | 2.00 | 2.00 | 2.00 | 1.67 | 2.33 | NA | 2.00 | 1.00 | 1.67 |
1996 | 3.00 | 4.00 | 2.00 | 3.67 | 4.00 | 2.00 | 2.00 | 3.00 | 2.00 | 2.67 | NA | 2.00 | 1.67 | 1.67 |
1997 | 3.33 | 4.00 | 2.00 | 3.67 | 4.00 | 2.33 | 2.33 | 3.00 | 2.00 | 2.67 | NA | 2.00 | 2.00 | 2.00 |
1998 | 3.33 | 4.00 | 2.00 | 3.33 | 2.33 | 2.33 | 2.00 | 1.67 | 2.00 | 3.00 | 2.33 | 2.00 | 2.00 | 2.00 |
1999 | 3.33 | 4.00 | 1.67 | 3.33 | 2.33 | 2.33 | 1.67 | 1.67 | 2.33 | 3.00 | 2.33 | 2.00 | 2.00 | 2.33 |
2000 | 3.33 | 4.00 | 2.00 | 4.00 | 2.33 | 2.33 | 1.67 | 1.67 | 2.33 | 3.00 | 2.33 | 2.00 | 2.00 | 2.33 |
2001 | 3.33 | 4.00 | 2.33 | 4.00 | 2.67 | 2.33 | 1.67 | 1.67 | 2.33 | 3.00 | 2.33 | 2.00 | 2.00 | 2.33 |
2002 | 3.33 | 4.00 | 2.33 | 4.00 | 3.00 | 2.33 | 2.00 | 2.33 | 2.33 | 3.00 | 2.33 | 2.33 | 2.33 | 2.33 |
2003 | 3.33 | 4.00 | 2.33 | 4.00 | 3.33 | 2.33 | 2.00 | 2.67 | 2.33 | 3.00 | 2.33 | 3.00 | 2.33 | 2.33 |
2004 | 3.33 | 4.00 | 2.33 | 4.00 | 3.33 | 2.33 | 2.00 | 2.67 | 2.67 | 3.00 | 2.67 | 3.00 | 2.33 | 2.33 |
2005 | 3.00 | 4.00 | 2.33 | 4.00 | 3.33 | 2.33 | 2.33 | 2.67 | 2.67 | 3.00 | 2.67 | 3.00 | 2.33 | 2.33 |
2006 | 3.00 | 4.00 | 2.33 | 4.00 | 3.33 | 2.33 | 2.67 | 3.00 | 2.67 | 3.00 | 2.67 | 3.00 | 2.33 | 2.33 |
2007 | 3.00 | 4.00 | 2.33 | 4.00 | 3.33 | 2.33 | 2.67 | 3.00 | 2.67 | 3.00 | 3.00 | 3.00 | 2.33 | 2.33 |
2008 | 3.00 | 4.00 | 2.33 | 4.00 | 3.33 | 2.33 | 2.67 | 3.00 | 2.67 | 3.33 | 3.00 | 3.33 | 2.33 | 2.67 |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 Index - Transparency International)
종합 지수 OVERALL INDEX |
하위 지수 SUBINDEXES |
|||||||
---|---|---|---|---|---|---|---|---|
기본적 요건 Basic requirements |
효율성 제고 Efficiency enhancers |
혁신 요소 Innovation factors |
||||||
연도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2001-2002년 | ||||||||
2002-2003년 | ||||||||
2003-2004년 | ||||||||
2004-2005년 | ||||||||
2005-2006년 | ||||||||
2006-2007년 | ||||||||
2007-2008년 | 58위(131) | 4.19 | 68위 | 4.36 | 48위 | 4.19 | 77위 | 3.50 |
2008-2009년 | 51위(134) | 4.31 | 56위 | 4.54 | 50위 | 4.29 | 73위 | 3.56 |
언론자유도(Freedom of the Press - Freedom House)
연도 | 국가 순위 | 평가대상 국가 수 | CPI 점수 | 표준편차 | 신뢰구간 | 조사 횟수 |
---|---|---|---|---|---|---|
1995년 | - | 41개국 | - | - | - | - |
1996년 | 47위 | 54개국 | 2.58 | 0.94 | - | 5 |
1997년 | 49위 | 52개국 | 2.27 | 0.87 | - | 6 |
1998년 | 76위 | 85개국 | 2.4 | 0.9 | - | 10 |
1999년 | 82위 | 99개국 | 2.4 | 1.0 | - | 13 |
2000년 | 82위 | 90개국 | 2.1 | 1.1 | 0.6 - 4.1 | 10 |
2001년 | 79위 | 91개국 | 2.3 | 1.2 | 0.3 - 4.2 | 10 |
2002년 | 71위 | 102개국 | 2.7 | 1.0 | 1.5 - 5.0 | 12 |
2003년 | 86위 | 133개국 | 2.7 | 0.8 | 1.4 - 4.9 | 16 |
2004년 | 90위 | 146개국 | 2.8 | - | 2.5 - 3.1 | 15 |
2005년 | 126위 | 159개국 | 2.4 | - | 2.3 - 2.6 | 12 |
2006년 | 121위 | 163개국 | 2.5 | - | 2.3 - 2.7 | 8 |
2007년 | 143위 | 180개국 | 2.3 | - | 2.1 - 2.6 | 8 |
2008년 | 147위 | 180개국 | 2.1 | 0.6 | 1.9 - 2.5 | 8 |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 Index - Transparency International)
상태 Status |
법적 환경 Legal Environ. |
정치적 환경 Political Environ. |
경제적 환경 Economic Environ. |
총점 Total Score |
|
---|---|---|---|---|---|
2007년 | 부자유(Not Free) | 18점 | 33점 | 24점 | 75점 |
2008년 | 부자유(Not Free) | 21점 | 33점 | 24점 | 78점 |
- - 상태: 자유 (0–30점) / 부분적 자유 (31–60점) / 부자유 (61–100점)
- - 법적 환경: 0–30점
- - 정치적 환경: 0–40점
- - 경제적 환경: 0–30점
- - 총점: 0–10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