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본 기사 번역 제공은 <한양대학교 HK 러시아 유라시아 연구사업단>이 러시아 및 유라시아 지역의 주요 헤드라인 뉴스들을 정리, 번역하여 매주 국가별로 원문과 함께 제공하는 ‘주간뉴스 번역서비스’이다. 2010년 7월 20일 제 1호가 나온 이후 지금에 이르며, 본 기사번역 제공서비스가 포괄하는 국가에는 러시아연방을 비롯하여,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 등 12개 국가이다. 이들 12개국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최신뉴스를 엄선하여 번역하고 원문링크와 함께 배포하는 본 서비스는 이제 관련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학생들에게도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지난 1990년 「월간북방동향」으로 창간하여 1997년 「아태지역동향」으로 제호를 변경한 이래 2006년 2월호까지 발간되었다. 본지는 월간 발행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게재되는 내용은 본 아태지역연구센터에서 매월 개최하고 있는 중국, 러시아, 북한, 미국, 일본 5개국의 정치/경제/사회 동향 및 초점분석에 대한 월례보고회의 결과물들이다.
『JAPA(Journal of Asia-Pacific Affairs』는 본 연구센터의 확대개편에 따라 연구영역의 확장을 꾀하고자 발간된 영문 학술잡지로서 지난 1999년 8월 창간호가 발행되었다. 본 학술잡지는 연 2회 발행되어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 국가들에 대한 연구성과를 게재하였는데, 2006년 7월호(v.7, n.7) 이후 발간이 중단되었다.
「亞太쟁점과 연구」 (Contemporary Asia-Pacific Studies)는 월간 「아태지역동향」을 확대, 발전시켜 2006년 4월에 그 창간호가 나온 계간지이다. 본 연구지는 아태지역연구센터의 내 · 외부 연구진들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안 쟁점들을 논의하는 워크숍에서 발표된 연구논문 working paper를 묶어 계간으로 발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2007년 겨울 (제 2권, 4호, 통권 8호)를 마지막으로 발간이 중단되었다.

우크라이나
Україна
Ukraine
개요
지리적 위치
지리학상의 좌표
면적
육지: 579,330km2
강, 호수: 24,220km2 세계 46위
면적-한국과의 비교
국경
접경 국가: 벨로루시 891km, 헝가리 103km, 몰도바 940km, 폴란드 428km, 루마니아(남쪽) 176km, 루마니아 (남서쪽) 362km, 러시아 1,576km, 슬로바키아 90km
해안선
해상청구권(maritime claims)
배타적 경제 수역: 200해리
대륙붕: 200m 또는 개발 수심
기후
지형
고도차이
최고도: 호벨라 산 2,061m
천연자원
토지이용도
영구곡물재배지: 1.48%
기타: 44.67% (2011년)
관개면적
가용 수자원
민물 취수(가정/산업/농업용)
연간 1인당: 415.7m3(2010년)
자연재해
환경문제
환경-국제협약
서명했으나 비준하지 않은 협약: 대기오염-잔류성유기오염물질협약, 대기오염-황94협약, 대기오염-휘발성유기화합물협약
지리-참고
인구수
연령구조
15-24세: 11.5% (남자: 2,610,172명/여자: 2,501,795명)
25-54세: 45% (남자: 9,639,882명/여자: 10,274,240명)
55-64세: 13.6% (남자: 2,581,380명/여자: 3,433,568명)
65세 이상: 15.6% (남자: 2,310,652/여자: 4,734,902명) (2014년 추정치)
중간연령
남자: 37.3세
여자: 43.7세 (2014년 추정치)
인구증가율
출생률
사망률
순 이민율
도시화 수준
도시화 비율: 연간 0.26% 감소 (2010-2015년 추정치)
남녀 성비
0-14세: 남자/여자 = 1.06
15-24세: 남자/여자 = 1.04
25-54세: 남자/여자 = 0.94
55-64세: 남자/여자 = 0.85
65세 이상: 남자/여자 = 0.49
전체 인구: 남자/여자 = 0.85 (2014년 추정치)
영아 사망률
남자: 1,000명 출생시 10.13명 사망
여자: 1,000명 출생시 5.94명 사망 (2014년 추정치)
출생시 기대수명
남자: 63.78세
여자: 74.86세 (2014년 추정치)
출산율
HIV/AIDS - 성인 발병율
HIV/AIDS - 보균자수
HIV/AIDS - 사망자수
전염성 질병
국적(nationality)
형용사: Ukrainian
민족구성
종교
참고: 우크라이나인은 압도적으로 기독교임. 대다수-거의 2/3-가 그들 스스로를 동방정교회라고 인정함. 그러나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은 명확히 특정 종파를 말하지 않음. UOC-KP와 UOC-MP 각각은 우크라이나의 1/4에 미치지 못하고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는 8-10%를 차지하고 UAOC는 1-2%를 차지함. 무슬림과 유대교 신자는 각각 우크라이나 총 인구의 1%에 미치지 못함.
언어
참고: 2012년 법률 제정에서는 주(oblast) 인구의 최소 10%가 사용하는 언어를 지방어로 인정. 지방어는 법정, 학교, 그리고 다른 정부 기관에서의 사용을 허락함. 우크라이나어는 동 국가의 유일한 공식언어로 남아있음.
문자해독률(문맹퇴치율)
전체 인구: 99.7%
남자: 99.8%
여자: 99.7% (2011년 추정치)
교육기간(초등-대학)
남자: 15년
여자: 15년 (2012년)
교육비 지출
국명
일반 약칭: Ukraine
현지 정식명칭: 없음
현지 약칭: Ukrayina
이전 명칭: Ukrainian National Republic, Ukrainian State, Ukrain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약칭: Ukraine
정부형태
수도
지리적 좌표: 북위 50.26도, 동경 30.31도
시차: UTC+2 (서울 기준 -5시간)
섬머타임: +1시간, 3월 마지막 일요일에 시작. 10월 마지막 일요일에 끝남
행정구역
주: 체르카시(Cherkasy) 주, 체르니히프(Chernihiv) 주, 체르니브치(Chernivtsi) 주, 드니프로페트롭스크(Dnipropetrovs'k) 주, 도네츠크(Donets'k) 주, 이바노-프란킵스크(Ivano-Frankivs'k) 주, 하르키프(Kharkiv) 주, 헤르손(Kherson) 주, 흐멜니츠키(Khmel'nyts'kyy) 주, 키로보라드(Kirovohrad) 주, 키이프(Kyiv) 주, 루한스크(Luhans'k) 주, 르비프(L'viv) 주, 미콜라이프(Mykolayiv) 주, 오데사(Odesa) 주, 폴타바(Poltava) 주, 리브네(Rivne) 주, 수미(Sumy) 주, 테르노필(Ternopil') 주, 비니챠(Vinnytsya) 주, 볼린(Volyn') 주(루츠크), 자카르파티아(Zakarpattya) 주(우즈호로드), 자포리즈쟈(Zaporizhzhya) 주, 지토미르(Zhytomyr) 주
자치공화국: 크림(Krym) 자치공화국(심페로폴),
자치시: 키이프(Kyiv), 세바스토폴(Sevastopol')
참고: 각 행정구역은 그 행정중심도시와 같은 명칭을 가짐. (예외적인 경우 괄호 안에 행정중심도시의 명칭을 표기)
독립일
국경일
참고: 1918년 1월 22일 우크라이나는 (소비에트 러시아로부터) 처음으로 독립을 선언했는데, 바로 그날 오래 가진 못했지만 서부 우크라이나공화국과 중부 우크라이나공화국(1919)이 통일되었으며, 오늘날 "통일의 날"로 기념되고 있음.
헌법
참고: 2004년 헌법으로 되돌아 가기 위해 미비된 추가적 헌법 개정.(2014년).
법률체계
투표권
행정부
정부 수반: 총리 아르세니 야체뉴크 (Arseniy Yatsenyuk) (2014년 2월 27일부터).
제1 부총리 - 공석
부총리 - 볼로디미르 흐로이스만 (Volodymyr Hroysman), 올렉산드르 시치 (Oleksnadr Sych) (2014년 2월 27일부터).
내각: 내각의 장관은 대통령이 임명
참고: 또한 국가안보협의회라는 명칭으로 1992년 처음으로 창설된 국가안보-방위협의회(NSDC)가 존재함. NSDC 참모진은 대내외 문제에 대해 국가안보정책을 개발하고 대통령에 자문하는 역할을 함. 대통령 비서실은 대통령령의 초안을 작성하고 대통령의 정책을 보좌함.
선거: 대통령은 5년 임기로 국민투표에 의해 선출됨(연임 가능). 최근 선거는 2014년 5월에 실시함. (다음 선거는 2019년)
선거결과: 페트로 포로셴코가 대통령으로 선출됨.
득표율 - 페트로 포로셴코 54.5%, 율리아 티모셴코 12.9%, 올레 루아쉬코 (Oleh Lyashko) 8.4%, 기타 24.2%
입법부
선거: 가장 최근의 선거는 2012년 10월 28일에 개최 (다음 선거 예정일 - 2017년)
선거 결과:
정당별 득표율 - 지역정당(Party of Regions) 30%, 바티키프쉬나 (Batkivshchyna) 25.5%, 우크라이나 민주동맹 (UDAR) 14%, 우크라이나공산당 (CPU) 13.2%, 자유당 (Svoboda) 10.4%, 기타 6.9%
정당별 의석 - 지역정당(Party of Regions) 185석, 바티키프쉬나 (Batkivshchyna) 101석, 우크라니아 민주동맹 (UDAR) 40석, 자유당 (Svoboda) 37석, 우크라이나공산당 (CPU) 32석, 통일 센터당 (United Center) 3석, 인민당 (People`s Party) 2석, 급진당(radical) 1석, 연합당 1석, 무소속 43석, 공석 5석
2014년 4월 초 의석: 지역정당 101석, 우크라이나 민주동맹 42석, 바티키프쉬나 88석, 경제발전당 (Economic Development) 36석, 자주 유럽의 우크라이나당 (Sovereign European Ukraine) 36석, 자유당 35석, 우크라이나공산당 32석, 무소속 59석, 공석 2석
사법부
임명 및 임기: 대법원 판사는 대법원 최고위원회에 의해 제안되며 대통령령에 의해 임명됨. 재판관은 처음 5년의 임기와 최고위원회에 의해 승인되면 65세까지 임기가 연장됨. 헌법재판소 재판관은 대통령, 대법원 그리고 단원제 최고위원회에 의해 각각 6명이 임명되며 임기는 9년이며 연장은 불가.
상급 법원: 상급 특수 법원, 파기원, 항소 법원, 지방, 지역, 시 그리고 마을(town) 법원.
정당 및 지도자
우크라이나공산당 (Communist Party of Ukraine or CPU): 페트로 시모넨코 (Petro SYMONENKO)
지역당 (Party of Regions): 공석
우크라이나인민운동(People's Movement of Ukraine, Rukh): 보리스 타라슈크 (Borys Tarasyuk)
인민당(People's Party): 볼로디미르 리트빈(Volodymyr Lytvyn)
급진당 (Radical Party): 올레 루아쉬코 (Oleh LYASHKO)
통합사회당(Social Party (United), SPU): 올렌산드르 모로즈 (Oleksandr Moroz)
자유당 (Svoboda ("Freedom")): 올레 투얀니우보크 (Oleh Tyahnybok)
우크라이나 민주동맹 (Ukrainian Democratic Alliance for Reforms or UDAR): 비탈리 클루쉬코 (Vitaliy KLYCHKO)
연합당 (Union) 레브 미림스키 (Lev MIRIMSKY)
통합센터당 (United Center): 빅토르 발로나 (Viktor BALOHA)
정치적 압력단체 및 지도자
오포라 (OPORA): 올하 아이바조프스카 (Olha Aivazovska)
참여 국제기구
주한 외교대표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장문로 51 (우편번호: 140-809)
전화: (02) 790-5696
FAX: (02) 790-5697
대표 E-mail : emb_kr@mfa.gov.ua
주 현지 한국외교대표
주소 : 700029 Afrociab 7, Tashkent, Uzbekistan
Tel : (998-71) 152-3151/3
Fax : (998-71) 120-6248
대표 E-mail : koremb@mofat.go.kr
영사관: 11, pushkinska St, 2F, #6, 01034, Kyiv, Ukraine
국기 설명
경제 개관
1991년 8월의 독립이 얼마 지나지 않아, 우크라이나 정부는 민영화를 위한 법적 제도를 수립함과 동시에 대부분의 물가를 민영화했으나, 정부와 입법부 내에서 존재했던 개혁에 대한 광범위한 저항으로 민영화에 대한 노력은 답보상태에 머물렀으며, 몇몇 것은 철회되기도 하였다. 1999년의 생산량은 1991년 수준의 40% 아래로 하락했으며, 에너지 공급을 위한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에 대한 의존과 두드러지는 구조 개혁의 부재는 우크라이나 경제가 외부 충격에 취약하게 만들었다.
우크라이나는 거의 3/4 년간 석유와 천연가스 수요와 100%의 핵연료 수요를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다. 유럽으로의 가스 수급이 중단되었던 2주간의 분쟁 이후, 우크라이나는 2009년 1월 러시아와 10년동안 가스 요금을 세계 수준으로 산정한다는 가스 공급 및 수송계약을 맺었다. 엄격한 계약 조건은 우크라이나의 재정난에 처한 국영 가스 회사인 Naftohaz사가 더욱 제약을 받게 하고 있다. 외부 기관들(특히 IMF)는 경제 발전을 위한 개혁의 속도와 규모를 촉진시키기 위해 우크라이나인들을 고무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 관료는 2005년 3월 예산법률주의에서 우크라이나의 대형 지하경제를 경제 활동에서 끌어내기 위해 대부분의 세금과 특권 관습을 삭제했으나, 부패와의 사투, 자본시장의 개발, 입법 구조의 개선과 같은 더 많은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경제경기는 2008년 중반까지만 해도 국무총리와 대통령 사이의 정치적 혼란에도 불구하고 활황이었다. The economy contracted nearly 15% in 2009, among the worst economic performances in the world. 2009년 경제는 세계 경제 최악의 성과로 거의 15%가 위축되었었다.
2010년 4월,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의 러시아 해군 기지의 계약 연장의 대가로 러시아 가스 수입에 대한 가격 인하를 협상했었다. 유럽연합은 유럽연합 시장에 대한 특혜권에 대한 대가로 우크라이나에 경제적, 재정적 개혁을 담은 노사조합협약을 요구했었고, YANUKOVYCH 대통령은 이에 대한 서명을 반대하여 2013년 11월 유럽연합의 노사조합협약 체결을 위한 움직임은 축소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2013년 12월 17일 우크라이나의 YANUKOVYCH 대통령과 러시아의 PUTIN 대통령은 115억의 차관과 낮은 오일 가격을 포함하고 있는 재정 원조 안을 합의했다. 그러나 2014년 2월 YANUKOVYCH 정부의 임기 종료는 러시아에 대한 추가기금을 중단시켰다. 2014년 2월의 후반에 수립된 우크라이나 임시 정부와 함께 국제 사회는 2014년 3월 27일 IMF의 140억-118원조 지원을 포함하여 경제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대응하여, 2013년12월17일우크라이나의YANUKOVYCH대통령과러시아의PUTIN대통령은115억의차관과낮은오일가격을포함하고있는재정원조안을합의했다.그러나2014년2월YANUKOVYCH정부의임기종료는러시아에대한추가기금을중단시켰다.2014년 2월의후반에수립된우크라이나임시정부와함께국제사회는2014년3월27일IMF의140억-118원조지원을포함하여경제안정화를위해노력하고있다.
GDP(구매력평가)
GDP(공식환율)
GDP(실질성장률)
1인당 GDP(구매력평가)
GDP-산업부문별 구성
공업: 29.6%
서비스업: 60.5% (2013년 추정치)
노동력
노동력-산업별 구성
공업: 26%
서비스업: 68.4% (2012년)
실업률
빈곤층(빈곤선 이하)
가계소득(소비)의 비중(%)
최고 10% 계층: 22.5% (2011년 추정치)
가계소득격차-지니계수
총고정자본투자
정부예산
세출: 6백65억 달러 (2013년 추정치)
공적부채
인플레이션율(CPI)
중앙은행 할인율
상업은행 대출이자율
통화량(스톡)
준통화량(스톡)
국내신용량(스톡)
거래주식의 시장가치
농업-주요 생산물
공업
공업생산증가율
전기-연간생산량
전기-연간소비량
전기-연간수출량
전기-연간수입량
석유-1일생산량
석유-1일소비량
석유-수출량
석유-수입량
석유-확인매장량
천연가스-생산량
천연가스-소비량
천연가스-수출량
천연가스-수입량
천연가스-확인매장량
경상수지
수출-총액
수출-주요 품목
수출-주요 상대국
수입-총액
수입-주요 품목
수입-주요 상대국
외환보유고(금 포함)
대외부채
해외직접투자-국내유치
해외직접투자-해외진출
환율
전화 - 사용중인 주 회선수
전화 - 이동전화
전화 시스템
국내 전화: 1991년 12월 독립시 우크라이나는 노후하고 비효율적이며 파손상태의 전화시스템을 물려받았음. 350만 대 이상의 전화신청을 총족시킬 수 없었음. 전화 밀집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시스템이 개선되고 있음. 우크라이나 네트워크의 약 1/3 가량이 디지털이고 대다수 지역중심지는 이제 디지털 교환국을 갖고 있음. 지방 네트워크와 지방 교환기는 계속 지연되고 있음. 100명 당 125대의 휴대전화에 도달한 시장의 포화상태로 인해 휴대전화 시스템의 확장은 둔화되었음.
국제 전화: 국가번호 - 380
2개의 국내 주요 라인은 광섬유 아시아-유럽횡단(Trans-Asia-Europe; TAE) 시스템의 일부이며 18개국을 연결하는 광섬유 유럽라인(Trans-European Lines; TEL) 프로젝트에 3개의 우크라이나 연결장치가 설치되었음. 추가적인 국제서비스는 이탈리아-터키-우크라이나-러시아(ITUR)를 잇는 해저 광케이블과 Intelsat, Inmarsat, Intersputnik 인공위성 시스템의 수많은 기지국에 의해 제공됨. (2010년)
라디오 방송국
텔레비전 방송국
인터넷 국가코드
인터넷 호스트수
인터넷 사용자수
비행장
포장 활주로를 가진 비행장
3,047m 이상: 13개
2,438~3,047m: 42개
1,524~2,437m: 22개
914~1,523m: 3개
914m 미만: 28개 (2013년)
비포장 활주로를 가진 비행장
1,524~2,437m: 5개
914~1,523m: 5개
914m 미만: 69개 (2013년)
헬리콥터 승강장
파이프라인
철도
광궤(1.524m 궤간): 21,619km (10,242km 전기화) (2012년)
도로
포장: 166,095km(157km의 고속도로 포함)
비포장: 3,599km (2012년)
수로
상용 선박
형태별: 벌크운반선 6척, 카고 141척, 화학탱커 1척, 컨테이너 3척, 여객선 6척, 여객/화물선 3척, 석유탱커 9척, 냉장카고 11척, roll on/roll off 7척, 특별 탱커 2척
외국인 소유: 2척(룩셈부르크 1척, 러시아 1척)
다른 국가에 등록된 것: 204(브라질 7척, 콜롬비아 34척, 코모로 8척, 키프로스 4척, 도미니카 4척, 그루지야 18척, 리베리아 25척, 리투아니아 1척, 말타 30척, 몰도바 5척, 몽골 1척, 파나마 10척, 러시아 11척, 세인트키츠네비스 9척,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11척, 시에라리온 10척, 슬로바키아 12척, 투발루 1척, 미확인 3척) (2008년)
항구 및 승선장
군 구성
병역 연령 및 복무기간
육군 및 공군은 12개월, 해군은 18개월 의무 복무 (2012년)
군 가용인력
16-49세 여자: 11,260,000명 (2010년 추정치)
군 적합인력
16-49세 여자: 8,792,504명 (2010년 추정치)
연간 징병연령 도달 인력
여자: 234,916명 (2010년 추정치)
군사비 지출
국제 분쟁
러시아와의 국경선 확정은 국경획정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음. 케르치(Kerch) 해협과 아조프 해에 걸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국경선을 둘러싼 분쟁은 2003년 12월의 프레임워크 협정과 진행 중인 전문가 차원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음. 몰도바와 우크라이나는 OSCE의 관할 하에 있는 몰도바의 트랜스드네스트르 분리지역을 통해 사람과 물자가 통과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합동관세구역을 운영. ICJ는 우크라이나 관할의 즈미이니/세르필로르(Snake) 섬과 흑해 해상경계를 둘러싸고 2004년에 접수된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분쟁에서, 2006년 12월까지 우크라이나가 답변하도록 시한을 제시하고, 2007년 6월까지 루마니아가 답변하도록 시한을 제시함. 루마니아는 다뉴브 국경에서 우크라이나를 거쳐 흑해로 연결되는 항로 운하를 우크라이나가 다시 개설하는 데에 반대함.
난민 및 이재민
무국적자: 35,000명 (2012년)
참고: 우크라이나 영주권을 취득한 구소련의 시민들은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을 하였을 때 시민권을 받음. 1991년 후에 우크라이나에 찾아온 사람들, 크림 타타르인, 한국 교포, 만료된 소련 여권 소유자 그리고 서류가 없는 사람들은 우크라이나 시민권을 받기 힘들었음. 1989년 소련이 붕괴됨에 따라 수천만의 크림 타타르인과 그들의 후손들은 스탈린 체제 하에서 우크라이나에서 추방하고 그들의 고향으로 보냄. 일부는 무국적자가 되고 다른 사람들은 우즈베키스탄 시민권을 얻거나 또는 구소련 공화국의 시민권을 얻음. 1998년 우크라이나와 우즈베키스탄의 양자간 합의에 따라 우즈벡 시민권 포기 과정과 우크라이나 시민권 취득이 간소화 됨.
인신 매매
감시등급: 감시 2등급- 우크라이나는 전적으로 인신매매(Trafficking) 근절 기준이 최저임. 그러나 근절을 위한 주요한 노력은 있었음. 정부는 2012년 반 인신매매 법 (anti-trafficking law) 시행을 철회하고 그 결과 반 인신매매 경찰이 2011년 해체되고, 많은 불법 거래 수사관, 검사 그리고 유죄 판결이 감소함. 소수의 희생자들의 신원이 확인되고 많은 지역에서 희생자들의 위탁이 효과적으로 작동되지 않음. 따라서 소수의 희생자들만이 정부에 의해 희생자 신분을 받음. 정부는 2012년 반 인신매매 보호 활동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지 않고 계속해서 희생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외국의 기부에만 의존하고 있음 (2013).
불법 마약
체제이행지표(Transition Indicators - EBRD)
대규모 사유화 | 소규모 사유화 | 기업 구조조정 | 가격 자유화 | 무역 및 외환 시스템 | 경쟁 정책 | 은행개혁과 이자율 자유화 | 증권시장과 비은행 금융기관 | 구조개혁 전반 | 통신 | 철도 | 전력 | 도로 | 상하 수도 | |
---|---|---|---|---|---|---|---|---|---|---|---|---|---|---|
1989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NA | 1.00 | 1.00 | 1.00 |
199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NA | 1.00 | 1.00 | 1.00 |
1991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NA | 1.00 | 1.00 | 1.00 |
1992 | 1.00 | 1.00 | 1.00 | 1.00 | 1.00 | 2.00 | 1.00 | 1.67 | 1.00 | 1.00 | NA | 1.00 | 1.00 | 1.00 |
1993 | 1.00 | 2.00 | 1.00 | 1.00 | 1.00 | 2.00 | 1.00 | 1.67 | 1.00 | 1.00 | NA | 1.00 | 1.00 | 1.00 |
1994 | 1.00 | 2.00 | 1.00 | 2.67 | 1.00 | 2.00 | 1.00 | 1.67 | 1.00 | 1.00 | NA | 2.00 | 1.00 | 1.00 |
1995 | 2.00 | 2.00 | 2.00 | 3.67 | 3.00 | 2.00 | 2.00 | 2.00 | 1.00 | 1.00 | NA | 2.00 | 1.00 | 1.00 |
1996 | 2.00 | 3.00 | 2.00 | 3.67 | 3.00 | 2.00 | 2.00 | 2.00 | 1.00 | 1.00 | NA | 2.00 | 1.00 | 1.00 |
1997 | 2.33 | 3.33 | 2.00 | 4.00 | 3.00 | 2.33 | 2.00 | 2.00 | 1.67 | 2.33 | NA | 2.00 | 1.00 | 1.67 |
1998 | 2.33 | 3.33 | 2.00 | 4.00 | 2.67 | 2.33 | 2.00 | 2.00 | 1.67 | 2.33 | 1.00 | 2.33 | 1.00 | 1.67 |
1999 | 2.33 | 3.33 | 2.00 | 4.00 | 3.00 | 2.33 | 2.00 | 2.00 | 1.67 | 2.33 | 1.00 | 2.33 | 1.00 | 1.67 |
2000 | 2.67 | 3.33 | 2.00 | 4.00 | 3.00 | 2.33 | 2.00 | 2.00 | 2.00 | 2.33 | 2.00 | 2.67 | 2.00 | 1.67 |
2001 | 3.00 | 3.33 | 2.00 | 4.00 | 3.00 | 2.33 | 2.00 | 2.00 | 2.00 | 2.33 | 2.00 | 3.00 | 2.00 | 1.67 |
2002 | 3.00 | 3.67 | 2.00 | 4.00 | 3.33 | 2.33 | 2.33 | 2.00 | 2.00 | 2.33 | 2.00 | 3.00 | 2.00 | 1.67 |
2003 | 3.00 | 4.00 | 2.00 | 4.00 | 3.33 | 2.33 | 2.33 | 2.00 | 2.00 | 2.33 | 2.00 | 3.00 | 2.00 | 1.67 |
2004 | 3.00 | 4.00 | 2.00 | 4.00 | 3.33 | 2.33 | 2.33 | 2.33 | 2.00 | 2.33 | 2.00 | 3.00 | 2.00 | 1.67 |
2005 | 3.00 | 4.00 | 2.00 | 4.00 | 3.67 | 2.33 | 2.67 | 2.33 | 2.00 | 2.33 | 2.00 | 3.00 | 2.00 | 1.67 |
2006 | 3.00 | 4.00 | 2.00 | 4.00 | 3.67 | 2.33 | 3.00 | 2.33 | 2.00 | 2.67 | 2.00 | 3.00 | 2.00 | 1.67 |
2007 | 3.00 | 4.00 | 2.00 | 4.00 | 3.67 | 2.33 | 3.00 | 2.67 | 2.33 | 2.67 | 2.00 | 3.00 | 2.00 | 2.00 |
2008 | 3.00 | 4.00 | 2.00 | 4.00 | 4.33 | 2.33 | 3.00 | 2.67 | 2.33 | 2.67 | 2.00 | 3.00 | 2.00 | 2.00 |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 Index - Transparency International)
종합 지수 OVERALL INDEX |
하위 지수 SUBINDEXES |
|||||||
---|---|---|---|---|---|---|---|---|
기본적 요건 Basic requirements |
효율성 제고 Efficiency enhancers |
혁신 요소 Innovation factors |
||||||
연도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2001-2002년 | ||||||||
2002-2003년 | ||||||||
2003-2004년 | ||||||||
2004-2005년 | ||||||||
2005-2006년 | ||||||||
2006-2007년 | ||||||||
2007-2008년 | 73위(131) | 3.98 | 90위 | 4.06 | 66위 | 3.93 | 65위 | 3.22 |
2008-2009년 | 72위(134) | 4.09 | 86위 | 4.1 | 58위 | 4.1 | 66위 | 3.7 |
2009-2010년 | 82위(133) | 4.0 | 94위 | 4.0 | 68위 | 4.0 | 80위 | 3.4 |
언론자유도(Freedom of the Press - Freedom House)
연도 | 국가 순위 | 평가대상 국가 수 | CPI 점수 | 표준편차 | 신뢰구간 | 조사 횟수 |
---|---|---|---|---|---|---|
1995년 | - | 41개국 | - | - | - | - |
1996년 | - | 54개국 | - | - | - | - |
1997년 | - | 52개국 | - | - | - | - |
1998년 | 69위 | 85개국 | 2.8 | 1.6 | - | 6 |
1999년 | 75위 | 99개국 | 2.6 | 1.4 | - | 10 |
2000년 | 87위 | 90개국 | 1.5 | 0.7 | 0.5 - 2.5 | 7 |
2001년 | 83위 | 91개국 | 2.1 | 1.1 | 1.0 - 4.3 | 6 |
2002년 | 85위 | 102개국 | 2.4 | 0.7 | 1.7 - 3.8 | 6 |
2003년 | 106위 | 133개국 | 2.3 | 0.6 | 1.6 - 3.8 | 10 |
2004년 | 122위 | 146개국 | 2.2 | - | 2.0 - 2.4 | 10 |
2005년 | 107위 | 159개국 | 2.6 | - | 2.4 - 2.8 | 8 |
2006년 | 99위 | 163개국 | 2.8 | - | 2.5 -3.0 | 6 |
2007년 | 118위 | 180개국 | 2.7 | - | 2.4 -3.0 | 7 |
2008년 | 134위 | 180개국 | 2.5 | 0.5 | 2.2 - 2.8 | 8 |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 Index - Transparency International)
상태 Status |
법적 환경 Legal Environ. |
정치적 환경 Political Environ. |
경제적 환경 Economic Environ. |
총점 Total Score |
|
---|---|---|---|---|---|
2007년 | 부분적자유(Partly Free) | 14점 | 19점 | 20점 | 53점 |
2008년 | 부분적자유(Partly Free) | 13점 | 19점 | 21점 | 53점 |
- - 상태: 자유 (0–30점) / 부분적 자유 (31–60점) / 부자유 (61–100점)
- - 법적 환경: 0–30점
- - 정치적 환경: 0–40점
- - 경제적 환경: 0–30점
- - 총점: 0–10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