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지 전망 시나리오에는 2016년까지 생산 요소 분배의 효율성에 근본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국가 정책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서방의 제재는 소비자와 기업의 심리를 지속적으로 악화시켜 내수의 회복을 지연시킬 것이다. 따라서 세계은행의 기본적 시나리오에는 2015년과 2016년에 러시아의 경제성장을 기대하지 않고 있다. 민간투자 특히 해외투자의 증가를 위한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가까운 장래에도 없을 것이다. 정부의 재정 잠재력은 경기순환을 되돌리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기에는 매우 제한적인데, 왜냐하면 예비기금 규모가 2008-2009년 GDP 대비 기준 절반 수준이기 때문이다. 2015년 예상되는 재정적자 규모가 GDP 대비 3.8%로 이는 예비기금(GDP의 4.7%)의 상당 부분을 고갈시킬 것이다. 2015년에 위기대응 계획 실현을 위한 비용은 GDP의 2% 미만이며 대부분의 자금(67% 또는 24조 루블)은 은행의 자본금 확충에 사용될 것이다.
러시아 정부의 경제 관료들은 2015년 3-4분기에 이미 경제성장의 회복을 전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은행은 위기가 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러시아 관료들은 현재의 위기를 순환적 원인으로 믿고 소비의 빠른 회복을 기대하고 있지만 임금 및 기타 소득의 상당한 감소는 내수의 빠른 회복을 일으킬 수 없다고 세계은행은 설명하고 있다.
-러시아 주요 경제지표 전망-
|
2014 |
2015 |
2016 |
||||
긍정적 |
기본적 |
부정적 |
긍정적 |
기본적 |
부정적 |
||
유가($/배럴, 연평균) |
97.6 |
65.5 |
53.2 |
45 |
68.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