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2일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 간의 휴전 및 중화기 철수 등에 합의한 후 15일부터 휴전협정이 발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투가 이어져 온 우크라이나에서 휴전협정 성립 이후 처음으로 정부군과 반군 사이에 포로 교환이 이루어졌다. 2월 21일 밤 우크라이나 동부의 루간스크(Luhansk)에서 약 20km 떨어진 마을에서 139명의 정부군 포로와 52명의 반군 포로가 교환되었다. 포로교환은 12일에 프랑스, 독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지도자들이 협상에서 중요한 합의 사항이었다. 양 측의 포로교환은 지난해 12월 말 중단되었다가 이번 휴전협정을 통해 재개되기에 이른 것이다.
휴전협정의 또 다른 합의 사항 중 중요 항목인 중화기 철수 문제도 실행에 옮겨질 예정이다. 22일부터 실시될 중화기 철수 과정에는 우크라이나 정부군, 반군, 러시아,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대표들이 공동 감시할 예정이다. 민스크 휴전협정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 양측은 휴전 발효 이틀 내에 대포, 다연장포 등의 중화기 철수를 시작하여 50~140Km에 이르는 폭을 설정한 비무장지대를 구축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휴전협정 발효 이후에도 데발체베(Debaltseve)에서 대규모 교전이 벌어지는 등 합의사항 이행이 진척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정부군 측에서 데발체베를 장악하기 위해 반군과 벌인 전투에서 179명의 정부군이 사망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반군 측의 기습으로 전투가 벌어지고, 이에 반군 측이 휴전협정을 위반했다고 판단한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반군의 배후 러시아에 대한 추가 재제를 고려하고 있다는 언급이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도 러시아가 국경을 넘어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으로 탱크와 미사일 시스템 및 병력을 실은 버스를 보냈다고 주장하는 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반군에 대한 지원 의혹이 가시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서방측의 대러 재제 추가가 계속 논의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