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회담 결렬 이후에도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러시아, 프랑스, 독일, 우크라이나 등 4개국 정상은 8일 전화통화를 통해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해 협상을 벌였다. 이날 통화를 통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합의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협의는 계속하기로 했다. 또한 동 4개국 정상들이 우크라이나 사태 논의를 위해 11일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회담을 갖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화 협상에 앞서 프랑스의 올랑드(Francois Hollande) 대통령과 독일의 메르켈(Angela Merkel) 총리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를 방문하여 각각 정상들과 회담을 가진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올랑드와 메르켈이 자체 준비한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을 가지고 관련국들과 합의 도출을 시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자체안은 그 내용이 구체적으로 공개된 바 없지만,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에 비무장지대를 설정하고 이 지역에 더욱 광범위한 자치권을 허용하는 방안이 평화 협정 초안에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이 방안은 일단 전투가 치열한 지역을 비무장지역으로 설정해 전투를 중단시키고 자치권 부여를 통해 추가적인 무력 충돌을 막자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와 반군 및 러시아의 동의 여부가 관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메르켈 총리는 9일에는 미국을 방문해 오바마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우크라이나 사태를 논의할 예정이다. 양국 정상회담에서는 특히 미국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여부에 대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독일은 미국의 무기 지원에 반대하고 있다. 미국과 독일 간에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놓고 이견이 노출되고 있다는 지적이 일자 미국의 케리(John Kerry) 국무장관이 8일 미국 정부의 우크라이군 무기 지원 검토로 불거진 유럽과의 갈등설을 부인하기도 했다.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 강대국들이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와 미국 등 서방세계의 입장과 러시아 및 반군 측 주장이 문제를 보는 기본적인 관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나기 때문에 쉽게 합의에 도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언론의 대체적인 시각으로 나타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