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물         기타학술지         유라시아 헤드라인

벨라루스 총선서 20년만에 야당 의회 첫 진출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864
' 유럽의 마지막 독재국 ' 으로 불리는 옛 소련국 벨라루스에서 지난  1996 년 이후 처음으로 야당의원이 선출됐다 타스와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11 ( 현지시각 치러진 벨라루스 총선에서  110 석의 하원의석 가운데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은  2 명의 야권 후보가 당선된 것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했다 친서방 정당인 통합시민당 (UCP) 의 안나 코노파츠카야와 무소속의 엘레나 아니심 등  2 명의 후보가  20 년만에 의회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 아니심은 야권과 연계된 비정부기구 (NGO)  벨라루스언어협회 소속으로 출마했다
지난  1994 년 이래 철권통치로 서방의 비난을 받아온 루카셴코 대통령은 근래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러시아와의 관계가 소원해지면서 서방과의 관계개선을 모색해왔다 특히 정치 경제적 맹방이었던 러시아의 경제난으로 지난해 경제가  3.9% 나 위축하는 최악의 경제난 속에 서방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을 맞고 있다 루카셴코 대통은 불투명한 선거관리에 대한 서방의 비난을 감안해 이번 총선에서 야당 후보들의 등록 요건을 완화했다 따라서 야당의원의 의회 진출이 벨라루스 국내 정치지형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은 요원하지만 루카셴코의 대서방 관계개선 노력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루카셴코 대통령은 총선 투표 후  ' 우리는 모든 것을 한 만큼 서방측에서 불만이 없을 것이다 우리는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 고 말했다 벨라루스는 지난해  10 월 치러진 평화적 대통령 선거를 계기로 서방과의 관계가 해빙 무드에 접어들었으며 정치범 석방과 우크라이나 - 러시아 분쟁에서 루카셴코 대통령의 중재역할도 그에 대한 국제적 비판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 유럽연합 (EU) 은 지난  2 월  5 년간에 걸친 벨라루스에 대한 제재를 해제했으며 미국도 일부 제한조치를 완화했다 아울러 이번 총선 관리가 추후 제재 검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고했었다 벨라루스전략문제연구소의 선임분석가인 데니스 멜리얀초프는  ' 이번 벨라루스 총선은 국내정책보다 대외적 요인이 더 컸다 ' 고 지적했다
110 명의 하원의원을 선출하는 이번 총선에는  484 명의 후보가 입후보했으며 선관의의 초기 집계에 따르면 투표율은  74.3% 였다 선거를 감시한  800 명의 외국참관단은  12 일 중 이번 선거에 대한 평가를 공개할 예정이다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