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정부는 극동지역의 토지를 주민들에게 무상분배하는 안을 지지하였다. 주민은 2016년 5월 1일부터 2035년 1월 1일까지 토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목적에 맞게 5년 사용 후에는 소유권 또는 임대권을 등록할 수 있다. 정부는 토지 이용 규칙을 위반하거나 외국인에게 양도할 경우 그 토지를 몰수할 수 있다. 극동은 1억 4,700만 헥타르를 분배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한 손에 1헥타르”라는 공식은 러시아의 모든 국민에게 1헥타르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어제 “극동연방관구에서 토지를 국민에게 제공하는 특성에 관한” 법안이 정부의 승인을 얻었다. 토지 무상분배 프로그램은 2016년 5월 1일부터 시작하여 2035년 1월 1일까지 지속될 것이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가 강조한 것처럼, 모든 국민은 그러한 가능성을 한번 이용할 수 있다. 유리 트루트네프 부총리는 회의 직후 프로그램은 극동 주민에게 해당한다고 인정하였다.
무상 토지 규모는 가족 1인당 1헥타를 넘을 수 없다. 비거주 토지를 개간하기 위하여 분배되는 토지는 주민 거주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 즉, 인구 5만 명 이상일 때는 10킬로미터 이상 또는 인구 30만 명 이상 도시로부터는 20킬로미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토지 선택은 국민이 인터넷 사이트, 다기능센터 또는 지자체 기관에 신청을 직접 제출할 수 있으며 선착순 원칙에 따라 우선 선택권이 주어진다. 영농 목적으로 받은 토지에 3층 이하 500㎡ 이하 면적의 집을 짓을 수 있으나 아파트는 건설할 수 없다. 목적대로 5년간 무상 이용 후에는 소유권 또는 임대권을 등록할 수 있고 대출을 위한 담보로도 이용할 수 있으나 매매 또는 외국인에게 양도는 안되며 그럴 경우 몰수될 수 있다.
2달간 시험용으로 인터넷 사이트와 핫라인을 운용하여 접수할 결과 2.5만 명 이상이 신청하였고 주로 18-24세의 젊은이들이 극동으로 이주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갈루쉬카 극동개발부 장관이 설명하였다. 극동개발부의 자료에 따르면, 극동지역에 6억 헤타르의 토지가 있으며 개인 및 기업이 사용하는 토지는 3백만 헥타르 이하이고 거주 또는 농경이 가능한 토지는 약 1억 4,700만 헥타르가 있다. 러시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4년에 러시아의 총인구는 1억 4,370만 명으로 러시아의 모든 국민이 신청해도 극동지역의 토지는 여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