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선거 시(時) 인권에 관한 유엔 총회에서 행한 특별보고관의 보고에 따르면, 공정선거를 위한 몇 가지 권고안--다원적 견해를 지닌 구성원들로 조직된 독립적인 선거위원회 설립 및 국영방송이 진행하는 대선후보 토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그 가운데 어떤 것도 실행되지 않았다. 하라치는 선거 운동을 위협하는 환경에 대해서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선거 보이콧’ 운동은 지난 선거 이후 범죄로 인정되었다. 수감되었던 2010년의 대선 후보들을 포함한 야당 인사들은 이번 대선 직전에 풀려났지만 그들 중 누구도 자신의 정치권 및 시민권을 되찾지 못했다. 그럼에도 특별보고관은 이번 선거가 2010년 대선과는 달리 폭력 없이 진행되었다는 사실은 환영했다. 또한 그는 일요일에 치러지는 선거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시위가 벨라루스에서 있었다는 점 역시 높이 샀다. '나는 선거의 여파로 시위대에게 어떤 일이 벌어질지 주시할 것입니다. 현재 벨라루스에서는 이들 대다수에게 단기 구금형이나 행정적 차별대우를 부과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공식 허가를 받지 않은, 선거와 미디어 개혁을 위한 시위활동을 범법화하고 있는 현행법의 폐지와 사법권의 독립을 확보하고 사형제도를 폐지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의 유예 조치 등의 벨라루스의 공공 생활의 근간을 이루는 가혹한 조처들을 폐지하기 위한 가능한 즉각적인 방안을 촉구하였다. '민주화와 기본권 및 자유에 대한 존중으로 떠받쳐지지 않는 근대화는 지속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의미도 없다'며 개혁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특별보고관은 벨라루스 정부와 협력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수 차례 말하였다. 이어서 그는 어제 있었던 유럽연합 외교장관의 지시에 따라, 대선 이전 6명의 정치범 사면에 대한 응답으로 지난 1월부터 시작된 벨라루스에 대한 유럽연합의 제재가 4달 간 한시적으로 풀릴 예정이라고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벨라루스의 국제적 책임과 시민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권 개혁을 위한 위대한 기회”라고 하라치는 설명하였다.
제네바 소재 유엔 인권이사회에 의해 임명된 독립적인 전문가나 특별보고관은 각 나라의 상황이나 특정 인권 관련 주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 이는 명예직으로, 이들 전문가는 유엔 소속 직원이 아니며 급여도 받지 않는다.